'경제한바퀴/경제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경제한바퀴/경제뉴스20

미국 인프라법, 내 암호화폐는 괜찮을까? (PoW와 PoS) 미국의회에서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이 장안의 화제이다. 이 인프라 법안이랑 암호화폐랑 도대체 무슨 연관이 있기에 이렇게 소란일까. 바로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에 포함된 암호화폐 거래소 등에서 약 280억 달러의 세수를 확보하는 법안이 포함 되어있기 때문이다. 인프라 법안의 암호화폐 세금 제안은 두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IRS(국세청)에 보고하기 위해 1만 달러 이상의 지불을 요구한다. 두 번째는 암호화폐 ‘중개인’이 특정 종류의 암호화폐 거래에 대해 국세청의 ‘1099 양식’을 제출하도록 요구한다. 원래 제안에서 암호화폐 ‘중개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에는 채굴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포함된다. 이는 채굴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사용자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여 IRS에 보고.. 2021. 8. 8.
TSMC 애플/인텔과 3나노 테스트 소식과 뒤처지는 삼성전자의 악재들 반도체 공정 미세화를 놓고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 삼성전자 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미국 애플과 인텔이 TSMC의 3나노미터(nm) 반도체를 처음으로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TSMC는 애플과 인텔에 3nm 공정 기반 반도체를 보냈다. 양사는 자체 디바이스에 적합한 디자인 설계 등을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3nm 제품이 5nm 대비 칩 면적을 35% 이상 줄이고 소비전력을 50% 감소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처리 속도는 30% 정도 향상이 기대된다. 애플/인텔과 협업하는 TSMC TSMC는 애플과 인텔에 3nm 공정 기반 반도체를 보냈다. 양사는 자체 디바이스에 적합한 일본 경제매체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복수의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애플과 인텔이 TSMC로부터 3나.. 2021. 7. 3.
IMF는 미국 기준금리를 내년말 인상해야된다고 하지만 연준은 테이퍼링 언제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이 내년 상반기 자산매입 축소에 나선 뒤 이르면 내년말 전후로 기준금리 인상을 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는 권고가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나왔다. IMF는 미국의 대규모 돈 풀기로 인한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고 봤다. 이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내년 상반기부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IMF: 금리인상 앞당겨야 IMF는 경제 현황 등에 대한 미국 정부와의 연례 협의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2022년 말이나 2023년 초 금리인상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미국 정부의 재정 지출 증가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장기 목표치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이르면 내년 말 이후엔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2021. 7. 2.
카카오페이가 곧 코스피에 상장된다 .. 카카오페이 공모주 청약은 ? 카카오의 핀테크 자회사 카카오페이가 28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의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할 전망이다. 회사는 상장 예비심사 통과에 이어 이번주 중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 카카오페이 상장예비심사 통과 카카오페이가 코스피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하고 올해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본격화한다. 기업가치 최대 18조원에 이를 것으로 평가되는 카카오페이는 이르면 오는 8월 공모 청약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페이 IPO는 삼성증권, 골드만삭스, JP모건이 대표 주관을 맡고 있으며, 대신증권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최대주주는 카카오로 5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 등을 거쳐 8월 내 공.. 2021. 6. 28.
바이든 1355조 인프라에서 전기차 보조금은 빠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민주당과 공화당 일부 상원의원들과 진행해온 대규모 인프라 투자 예산 확보를 위한 협상이 타결됐다고 밝혔다. 합의된 금액은 향후 5년 동안 9천730억 달러(약 1098조원), 8년 동안 1조2천억 달러(약 1354조원)를 추가 지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든 인프라 미국 여야가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예산안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철강, 화학, 해운, 기계 등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되면 미국으로의 수출 물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는 이번에 합의된 인프라 투자 법안 규모는 1억2000만달러(약 1355조원)라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3월 말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위해 제시한 2조.. 2021. 6. 25.
DSR 규제는 강화하고 중·저신용자 중금리 대출은 확대 올 7월부터 시행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앞두고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올리거나 한도를 줄이는 등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에 선제적인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고 나섰다. 이와는 반대로 정부의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대출 확대 압박이 거세지면서 은행권이 중금리 대출 이자를 낮추고 상품을 보강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DSR의 뜻과 규제 강화 DSR 이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다시 말해 DSR은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유가증권담보대출 등 모든 가계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DSR 산출방법 DSR = .. 2021. 6. 23.
쿠팡이 도쿄 올림픽 중계를 따냈다 / 쿠팡 소비자불매운동 "쿠팡탈퇴" 쿠팡은 네이버, 카카오 등 경쟁사를 제치고 국내 지상파 3사로부터 도쿄올림픽 온라인 중계권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 진출 반년만이다. 쿠팡이 도쿄올림픽 온라인 단독 중계 쿠팡은 도쿄올림픽 온라인 단독 중계권을 사실상 확보했다. 쿠팡은 조만간 중계권 확보 여부를 공개할 예정이다.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들이 입찰 경쟁에 뛰어든 바 있다. 온라인 중계권은 일반 중계권을 보유하고 있는 지상파3사가 OTT 업체에 재판매하는 권리다. 이번 일이 놀라운 것은 쿠팡의 온라인 중계권 확보는 오티티 시장에 진출한 지 불과 반년만이기 때문이다. 쿠팡은 지난해 12월 매달 2900원을 내는 로켓와우 회원들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 2021. 6. 20.
카카오는 어떻게 코스피 시총 3위가 되었나? 최근 카카오가 급등한 가운데 네이버를 제치며 국내 코스피 시총 3위를 굳히기에 들어갔다. 카카오 시가총액은 68조8091억 원으로 늘면서 70조 원을 바라보고 있다. 시가총액 4위 네이버(65조3768억 원)와의 격차는 3조4323억 원대로 벌어졌다. 어떻게 이렇게 됬을까? 하나하나 짚어보도록 하자. 카카오 액면분할 단 6개월만에 카카오의 시총이 급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액면분할이 꼽힌다. 주식 액면가를 500원에서 100원으로 쪼개는 분할(1주→5주)을 지난 4월에 마쳤다. 즉 개미투자자인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에 만만해졌다는 것이다. 지난 4월15일 카카오는 주식 5분의 1 액면분할을 결정했고, 발행주식수가 8870만4620주에서 4억4352만3100주로 늘어났다. 주가는 55만8000원에서 .. 2021. 6. 19.